출처 : 오마이뉴스
김영우 의원 "조작된 것 같다"... 동영상 유포자 수사 의뢰하기로
요즘 국개는 완전 개그 조작된거 같다?
동영상 유포자 수사 의뢰하기로 ㅋㅋㅋ
아~~~ 졸라 무서워
개가 웃겠다~~

출처 : 오마이뉴스
김영우 의원 "조작된 것 같다"... 동영상 유포자 수사 의뢰하기로
요즘 국개는 완전 개그 조작된거 같다?
동영상 유포자 수사 의뢰하기로 ㅋㅋㅋ
아~~~ 졸라 무서워
개가 웃겠다~~
램 512MB에서도 빠릿한 속도의 보장 ㅎㅎㅎ
무지 기대됨 이미 손에 있지만 귀차니즘으로 인해 -_-
VMWare로 설치후 가동중~
무료 백신중에 하나인 어베스트 홈에디션 Ver 4.8이다
세계 10위권에 드는 유명한 백신 프로그램이다..
원래 프로페셔널 버전은 상용이지만 홈에디션은 무료이다..
물론 기업에서 쓴다면 구매해야함...
프로페셔널 버전과 별 차이 없이 업데이트등을 제공하니 나름 쓸만하다
다운로드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됩니다.
avast! 홈 에디션 다운로드
![]() |
avast! 4 Home - 한국어 버전 |
![]() |
avast! 4 Home - 영어 버전 |
![]() |
avast! 4 Home - Chinese (간체) |
![]() |
avast! 4 Home - Chinese (번체) |
![]() |
avast! 4 Home - Japanese |
무료 라이센스 등록 을 통해 1년 단위로 무료로 라이센스를
발급받아서 사용하면 됩니다. ㅎㅎ
이클립스가 이번에 또 업그레이드 됐다~~~
버전은 3.5 기존 버전보다 약간 더 성능 향상이 된듯
빠릿빠릿한게 맘에 든다 ㅋㅋ
3.3 - 유로파 (목성의 위성)
3.4 - 가니메데 (목성의 위성)
3.5 - 갈릴레오
다음 버전의 코드 네임이 멀까 사뭇 기대된다 ㅋㅋ
멋지구리한 홈페이지~~~
펼쳐두기..
Highlights include Mac Cocoa support, Domain Specific Language modeling and updates to Equinox; multi-language support immediately available
OTTAWA, CANADA – June 24, 2009 – For the sixth year in a row, the Eclipse community has delivered its annual release train on its scheduled date. Galileo, the 2009 release train, is the largest ever release from the Eclipse community, comprising 33 projects and over 24 million lines of code. Over 380 committers from 44 different organizations participated to make this release possible.
Each year the Eclipse community coordinates an annual release of projects during the last week of June. The coordinated release makes it easier for Eclipse users and adopters to take advantage of the innovations and new features created by the different Eclipse projects. Millions of Eclipse users and thousands of organizations that build software on top of Eclipse can now upgrade to this release.
The new features in the Galileo release reflect three important trends in the Eclipse community: 1) Expanding adoption of Eclipse in the enterprise, 2) innovation of Eclipse modeling technology and 3) advancement of EclipseRT runtime technology. Each project has published “new and noteworthy” documentation for their specific release. Overall, highlights from the Galileo release include:
Expanded Enterprise Adoption
Adoption of Eclipse in the enterprise continues to grow. New features in Galileo help expand the use of Eclipse by enterprise developers, including:
Advancement of EclipseRT Runtime Technology
EclipseRT is the set of Eclipse technologies that provide OSGi-based frameworks and runtimes useful in building software systems. The Galileo release includes a dedicated category of EclipseRT components including elements from Equinox, RAP, RCP, Riena, BIRT, Swordfish, EclipseLink, ECF and EMF. Notable feature updates that advance the EclipseRT technology stack include:
Innovation in Eclipse Modeling Technology
The Eclipse Modeling community continues to create new innovative technology for model-based development frameworks, tools and standards. Key new innovations in Galileo include:
For the first time ever, language translations of the Eclipse Platform project v3.5 will be available on the release date. Language packs for Simplified Chinese, Traditional Chinese, French, German, Japanese and Korean will be available immediately, and other languages and projects will be available when completed. In previous years, Eclipse language translations have taken two to three months to become available. This simultaneous release has been made possible by the Eclipse Babel project and the community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at have provided translations.
“The release train continues to be a great achievement of the Eclipse community,” explained Mike Milinkovich, Executive Director of the Eclipse Foundation. “Galileo demonstrates that large distributed software development can be done on a predictable schedule. This predictability makes it possible for our user and adopter community to quickly adopt new releases from Eclipse.”
The projects in the Galileo release train are now available for download at www.eclipse.org/downloads. More information about Galileo is available at www.eclipse.org/galileo.
About the Eclipse Foundation
Eclipse is an open source community, whose projects are focused on building an open development platform comprised of extensible frameworks, tools and runtimes for building, deploying and managing software across the lifecycle. A large, vibrant ecosystem of major technology vendors, innovative start-up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extend, complement and support the Eclipse Platform.
The Eclipse Foundation is a not-for-profit, member supported corporation that hosts the Eclipse projects. Full details of Eclipse and the Eclipse Foundation are available at www.eclipse.org.
All company/product names and service marks may be trademarks or registered trademarks of their respective companies.
Press Contact:
Chantal Yang
Page One PR for Eclipse Foundation
415-875-7494
eclipse@pageonepr.com
다운로드는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특정 파일을 읽어서 처리해야 할 경우 개발 환경과 운영환경이 다른 경우에는
파일이 위치한 정보를 가진 설정 파일을 각각 유지하여 관리한다던가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ServletConfig객체 (JSP에서는 application)를 사용하면 쉽게 Context에
위치한 파일등을 다룰수가 있다.
URL url = conf.getServletContext().getResource("/img/test.jpg");
URLConnection conn = url.openConnection();
conn.setUseCaches(false);
InputStream is = conn.getInputStream();
위의 내용은 Context의 /img/test.jpg파일을 읽어서 InputStream으로 반환하는 샘플 코드이다.
만약 경로만 준다면 해당 폴더에 있는 파일의 리스트를 가지고 올수도 있다.
응용하기에 따라 웹어플리케이션에서 서버의 환경이 변화 되더라도 쉽게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한 코드를 작성 할 수있다는게 장점~
정말 간만에 너무 재미있게 본영화 ㅋㅋㅋ
스포는 생략~~~
엔딩 크레딧 올라가기전까지 마음껏 웃게해준 영화!!!
대박 나길 너무 재미있습니다. ㅋㅋㅋㅋ
특히 트랜스포머보다 재미있을거란 말 정말이더군요 ㅋㅋㅋ
강추!!! 올해 아직까지 본 영화중에 최고로 재미있었음~~
iBATIS의 로깅기능으로 log4j를 주로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로그 파일을 FIle로 저장하게 되는데 가끔... 로깅 정보를 DB로 저장을 원하는곳이
있다..
이때 사용하는것이 JDBCAppender이다... 첨부 파일 다운로드 하면된다.
JDBCAppender는 아래와 같으 Log4j에서 설정해주면 된다.
log4j.appender.dblog=org.apache.log4j.jdbcplus.JDBCAppender
log4j.appender.dblog.url=jdbc:oracle:thin:@접속정보:1521:SID
log4j.appender.dblog.dbclass=oracle.jdbc.driver.OracleDriver
log4j.appender.dblog.username=계정log4j.appender.dblog.password=암호
log4j.appender.dblog.sql=INSERT INTO APP_LOG( SYSTEMNAME, LOGDATE, LOGLEVEL, MDC1,MDC2, MESSAGE, TROWABLE ) values ('MCSMGR',TIMESTAMP '@TIMESTAMP@','@PRIO@','@MDC:APP@','@NDC@','@MSG@','@THROWABLE@')
log4j.appender.dblog.layout=org.apache.log4j.PatternLayout
log4j.appender.dblog.layout.ConversionPattern=%m
log4j.appender.dblog.buffer=1
log4j.appender.dblog.commit=true
log4j.appender.dblog.quoteReplace=true
log4j.appender.dblog.throwableMaxChars=3000
위는 오라클 기준임... 그리고 appender를 loging되게하는 설정이 필요함 각자 알아서..
그리고 아래와 같이 테이블을 작성해 주면 된다.
CREATE TABLE "APP_LOG" (
"SYSTEMNAME" VARCHAR2(100)
,"LOGDATE" DATE DEFAULT SYSDATE
,"LOGLEVEL" VARCHAR2(100)
,"MDC1" VARCHAR2(100)
,"MDC2" VARCHAR2(100)
,"MESSAGE" VARCHAR2(4000)
,"TROWABLE" VARCHAR2(4000)
)
그러면 DB의 테이블로 로그가 저장이 된다.
그리고 로깅시에 외부 설정 정보를 넣을려면... 얘를 들어 로그인한 사용자등등...
MDC.put("APP", "테스트");
db.queryForList("SAMPLE.SELECT");
MDC.remove("APP");
MDC 또는 NDC를 설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자세한것은 아래 URL을 참고...
http://www.onjava.com/pub/a/onjava/2002/08/07/log4j.html?page=3
http://www.mail-archive.com/log4j-user@logging.apache.org/msg06998.html
2004년인가 2003년인가 들어 놨던 비과세 저축
그때 그냥 아는 형님 따라 갔다가 만들어놓은 통장인데
나름 개념 통장임 ㅋㅋㅋ
30년만기인가? 아마 그럴거고...
이게 장기주택마련상품이라... 년 300만원까지 소득공제~~~
그리고 중요한건 이넘이 연복리가 적용된다는거~~~
가입할때 금리는 안습이었는데 요즘 금리는 4.5%였나
뭐 나름 괜춘한 통장 ㅎㅎㅎ
사실 연복리인지 몰랐는데 ㅡ.ㅡ;; 돈 안넣은지 2년가까이 되는데 원금이 계속 늘어나길래 ㅋㅋ
빨간색 테두리가 연복리 적용된거 ㅋㅋㅋ
요즘도 이런 상품 있을려나? 하나더 해두고 싶은데 ㅡ.ㅡ;;
대략 네이버에서 이사 완료~~~
대부분의 자료는 다 옴겨 왔는데 누락된건 나중에 찾아서 올려야 할듯 ㅡ.ㅡ
심플하니 좋구나~~~~~
구글로 옴겨왔는데두 명박이의 손길이 닿을지 두고 볼일 ㅋㅋㅋ
정말 간단히 만들어본 ANT Build.xml파일
대략 적인 기능은 java컴파일하여 ftp 업로드
HTML/JSP파일 ftp업로드
주석으로 막아 놓은 부분은 jar아카이브로 묶어서 처리 ㅎㅎ
<?xml version="1.0" encoding="euc-kr" ?>
<!-- 프로젝트 이름 : 이 이름으로 jar파일이 생성된다. -->
<project name="대한통운" basedir=".">
<property name="project.name" value="${ant.project.name}"/>
<property name="project.version" value="1.0"/>
<property name="user.name" value="user"/>
<property name="apps.name" value="${ant.project.name}"/>
<!--jar 압축 파일 이름 -->
<property name="jars.name" value="${apps.name}.jar"/>
<!--소스가 있는 기준 폴더, Eclipse Project Root Folder-->
<property name="src.dir" value="./src"/>
<!--컴파일하여 class를 저장할 폴더-->
<property name="build.dir" value="./build"/>
<!--jar압축 파일이 저장될 폴더, 프로젝트 루트 디렉토리-->
<property name="jar.dir" value="${basedir}"/><!--jar압축 파일 백업본이 저장될 폴더-->
<property name="backup.dir" value="backup"/>
<!-- Deploy폴더 -->
<property name="deploy.lib.dir" value="./WEB-INF/lib"/>
<!-- 외부 라이브러리 -->
<path id="ext.lib">
<fileset dir="${deploy.lib.dir}" includes="*.jar" />
</path>
<!-- 자바소스 컴파일 -->
<target name="compile">
<!-- BUILD 생성 -->
<mkdir dir="${build.dir}" />
<!-- XML/Properties복사 -->
<copy todir="${build.dir}">
<fileset dir="${src.dir}"
includes="**/*.xml, *.properties" />
</copy>
<javac srcdir= "${src.dir}"
destdir="${build.dir}"
excludes="**/*.class"
classpathref="ext.lib"
debug="on"/>
</target>
<!-- 133서버에 클래스 반영 -->
<target name="클래스반영[1]" depends="compile">
<ftp server="FTP서버IP" port="포트"
remotedir="FTP로 파일 전송할 경로"
userid="계정"
password="암호" verbose="yes" depends="no" timediffauto="yes">
<fileset dir="${build.dir}">
<include name="**"/>
</fileset>
</ftp>
<delete dir="${build.dir}" />
</target>
<!-- 134서버에 클래스 반영 -->
<target name="클래스반영[2]" depends="compile">
<ftp server="FTP서버IP" port="포트"
remotedir="FTP로 파일 전송할 경로"
userid="계정"
password="암호" verbose="yes" depends="no" timediffauto="yes">
<fileset dir="${build.dir}">
<include name="**"/>
</fileset>
</ftp>
<delete dir="${build.dir}" />
</target>
<!--jar파일 압축 타겟-->
<!-- target name="jars" depends="compile">
<jar destfile="${jars.name}"
basedir="${build.dir}"
includes="**"
excludes="doc/**, **/SqlMapConfig.xml"
update="true"
compress="false"
index="true"
>
</jar>
</target --><!--jar파일 deploy-->
<!-- target name="start.copy" depends="jars">
<mkdir dir="${backup.dir}"/>
<echo message="Application Name:${jars.name}"/>
<echo message="Application Name:${jar.dir}/${jars.name}"/>
<copy file="${jar.dir}/${jars.name}" todir="${deploy.lib.dir}" overwrite="true"/>
<delete file="${jar.dir}/${jars.name}"/>
</target -->
<!-- HTML/GFM등을 반영 -->
<target name="HTML/JSP반영[1]" >
<ftp server="FTP서버IP" port="21"
remotedir="FTP로 파일 전송할 경로"
userid="아이디"
password="암호" verbose="yes" depends="no" timediffauto="yes">
<fileset dir="./">
<include name="**/a.gfm"/>
</fileset>
</ftp>
</target><!-- HTML/GFM등을 반영 -->
<target name="HTML/JSP반영[2]" >
<ftp server="FTP서버IP" port="21"
remotedir="FTP로 파일 전송할 경로"
userid="아이디"
password="암호" verbose="yes" depends="no" timediffauto="yes">
<fileset dir="./">
<include name="**/a.gfm"/>
</fileset>
</ftp>
</target></project>
#### [ANT] ftp task의 문제점
http://okjsp.pe.kr/bbs?act=VIEW&bbs=bbs4&seq=38814&pg=0&keyfield=subject&keyword=&pact=&password=
#### 참고 사이트
http://wiki.javajigi.net/pages/viewpage.action?pageId=179
#### Ant에서 SFTP task 활용하기
http://shinnara.tistory.com/127
Jeus라는넘은 당췌 알수가 없다...
왜? 다른거냐 여러 WAS를 다 사용해 보았지만 JEUS만큼 짜증을 유발시키는 WAS는 WebSphere빼고는
없을듯;;;
아래와 같은 코드가 JEUS에서는 비정상적인 동작을 한다...
<%@page contentType="text/html;charset=euc-kr" %>
<%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
System.out.println(request.getParameter("TEST"));
request.setCharacterEncoding("euc-kr");
System.out.println(request.getParameter("TEST"));
%>
위와 같이 코딩한 jsp에 TEST라는 파라미터로 한글로 홍길동을 넘기면 결과가...
??浿
??浿
나오고 다른 WAS(웹로직, 톰캣등등)은....
??浿
홍길동
으로 정상적으로 나온다..
즉, JEUS 6에서는 setCharacterEncoding이 최초 설정된 이후에는 두번다시 적용이 안되는 문제점이!!!
상황에 따라 변경을 해야되는에 어찌하란 말인가 ??
IE8이 얼마전에 패치되었는데 다른건 다 좋은데...
소스 보기를 했더니 아래와 같이 전용 뷰어가 뜬다 아쉬운 점은 편집이 안된다!!!
예전처럼 노트 패드에서 열리게 할려면 아래와 같이 레지스트리를 수정해 주면 됩니다.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Internet Explorer 에 가보면 아래와 같이
View Source Editor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하위에 보면 Editor Name부분이 있는데 기본값을 notepad.exe로 변경하면 끝
이클립스를 사용하다가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열어보면 한글이 깨져 보일때가 종종있다..
이 경우는 이클립스의 설정이 안되어 그런 부분인데
지금 부터 따라하면 깨지지 않은 한글을 볼수가 있다 ㅎㅎ
먼저 이클립스 실행후에
상단 메뉴에서 Window > Preferences를 눌러 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좌측 트리에서 General > Content Types를 선택해 주고
오른쪽의 Content types의 Text부분을 확장하면 위와 같은 리스트가 나타나는데 그중에서
JavaScript를 선택후에 Default encoding을 euc-kr로 변경해 준다음 update를 누르면
끝~~~ 쉽죠?
iBATIS SQLMaps(이하 아이바티스)는 이미 국내외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퍼시스턴스 계층의 프레임워크이다. 실제로 국내에서 가장 크다는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와 다음도 아이바티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업체들도 아이바티스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약간 변형시킨 형태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특집 3부에서는 아이바티스의 특징과 활용법에 대해 알아본다.
과거 ORM의 대표인 하이버네이트와 데이터 매퍼인 아이바티스 간에 어느 프레임워크가 더 좋은가에 대한 논쟁도 있었을 만큼 많은 자바 개발자들은 데이터베이스에 관련된 ORM 프레임워크에 대한 관심이 크다.
이런 논쟁 가운데 아이바티스는 ORM이 아니기 때문에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의견도 있었다. 사용 목적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하이버네이트와 아이바티스는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있으나 ORM이냐 아니냐를 가름하는 관점에서 본다면, 역시 아이바티스는 ORM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 |
ORM과 데이터 매핑 | ![]() |
![]() |
기능에 따른 사용형태 | ![]() |
![]() |
<그림 1> ER 다이어그램 |
일반적인 CRUD 작업
데이터 매퍼인 아이바티스는 SQL ‘구문’을 자바 객체로 매핑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정적인 CRUD 작업에 가장 최적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데이터베이스 함수 및 프로시저, 동적 SQL 처리에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약간의 제약이 있게 마련이다. 여기서는 SQL 구문의 재사용을 위해
쿼리문을 일종의 특정 id값을 가지는 xml에 저장하고 그 id를 기준으로 호출해서 사용하는 게 아이바티스의 기본 사용법이다. 이 파일을 이해하는데 별무리가 없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면 이 SQL 구문들을 어떻게 호출해서 사용하면 좋을까? 자바 코드를 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표 1> 프로시저 처리시 사용할 메소드에 대한 권고사항 |
앞의 예제는 IN 파리미터에 값을 전달하고 내부적으로 처리한 후에 어떠한 데이터도 반환하지 않기 때문에 update() 메소드가 사용되었다(프로시저 처리 시 결과 세트를 반환하고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경우,
N+1 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아이바티스 3.0 소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